본문 바로가기
A

주식 기초용어 (PBR, PER, ROE, EPS)

by 레몬맛캔디쑵 2022. 10. 1.

1. PBR(주가/주당순자산가치)

 

Price Bookvalue Ratio의 약자인 PBR(주가순자산비율)은 기업의 현재 주가를 BPS(주당순자산가치)로 나눈 값으로 순자산 대비 주당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지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주당순자산은 '(기업의 총자산 - 기업의 총부채)/발행 주식 수'가 되므로 PBR(주가순자산비율)은 '주가/주당순자산가치'가 되고 배수가 낮을수록 기업의 성장력과 수익력이 높다는 말이 됩니다. 즉, PBR이 낮다는 것은 회사의 현재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2. PER(주가/주당순이익)

 

Price Earnings Ratio의 약자인 PER(주가수익률)은 현재 기업의 주가를 EPS(주당 순이익)로 나눈 값으로 회사 주식이 주당 순이익의 몇 배에 거래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일반적으로 PER(주가수익률)이 낮다는 것은 해당기업이 저평가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PER(주가수익률)이 높다는 것은 해당기업이 고평가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3. EPS(단기순이익/보통주 발행 주식 수)

 

Earning Per Share의 약자인 EPS(주당순이익)는 회사의 순이익을 보통주 발행 주식 수로 나눈 값으로 기업이 1주당 얼마만큼 이익을 창출해냈는지를 나타냅니다. EPS(주당순이익)는 기업의 벨류에이션을 평가하는 대표 지표인 PER(주가수익률)을 구하는 지표로도 사용됩니다. EPS(주당순이익)가 높다는 것은 보통주 발행 주식 수에 비해 단기순이익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투자가치가 높다고 평가됩니다.

 

4. ROE(당기순이익/자기자본×100)

 

Return On Equity의 약자인 ROE(자기자본이익률)는 자기자본 대비 얼마만큼의 이익을 창출했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ROE(자기자본이익률)를 통해서 기업이 자기자본을 활용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5. 간단한 주식용어들

 

주식을 하기 위해 필요한 상식적인 용어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 시가 : 주식시장에서 형성되어 있는 매매가격을 뜻한다.
  • 종가 : 주식시장 마지막에 결정된 가격을 뜻한다. (장 마감 시간인 15시30분의 가격)
  • 호가 : 고객의 주문을 받아 표시해 전달하는 매수, 매도의 가격을 뜻한다.
  • 거래량 : 고객의 주문을 받아 매수와 매도가 체결된 주시의 수를 뜻한다.
  • 매수 : 회사의 주식을 사는 것
  • 매도 : 회사의 주식을 파는 것
  • 보합 : 어제의 종가에 비해 시세의 변동이 없다는 의미이다.
  • 상한가 : 개별 종목의 주가가 하루에 상승할 수 있는 최고치를 의미한다. (일일 주식 최고 상한가는 29.99%로 제한)
  • 하한가 : 개별 종목의 주가가 하루에 하락할 수 있는 최고치를 의미한다. (일일 주식 최고 하한가는 29.99%로 제한)
  • 우량주 : 시가총액이 높은 기업을 의미하며,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수익을 주는 종목을 의미한다.
  • 테마주 : 특정한 이슈와 현상에 의해서 움직이는 종목을 의미한다.
  • 작전주 : 증권 브로커와 큰손 및 대주주들이 공모해 특정한 주식을 매입하여 가격을 상승시켜 이익을 챙기는 종목을 의미한다.
  • 동전주 : 1,000원 미만의 주식 종목을 의미한다.
  • 익절 : 매수한 주식이 높은 가격으로 팔아서 수익을 내는 것을 의미한다.
  • 손절 : 매수한 주식이 구매가 보다 낮아져 수익을 포기하고 손해를 감수하면서 매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 미수금 : 주식을 구매할 때 현금이 부족한 경우 일부 금액을 매수하여 나중에 지불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 증거금 : 주식을 구매할 때 최소한으로 필요한 금액을 의미한다.
  • 지정가 : 주문단가를 구매자가 직접 지정하여 주문하는 것을 의미한다.
  • 시장가 : 주문단가를 시장 가격으로 주문하는 것을 의미한다.
  • 배당 :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발생시킨 이익 잉여금을 주주들에게 환원시켜주는 것을 의미한다.

댓글